생식기 염증 자궁경부염  
자궁경부염
 
자궁경부염
생각보다 많은 여성들이 앓고 있습니다.
자궁경부염, 생각보다 많은 여성들이 앓고 있습니다. 자궁경부염은 임균이나 클라미디아균 감염으로 인한 자궁내 경관의 염증상태입니다. 자궁경부는 자궁의 입구로 질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자궁이 시작되는 부위로 자궁경부의 외피는 편평상피세포와 원주상피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두 상피세포의 종류에 따라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균이 구별됩니다.

질에 염증을 일으키는 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염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자주 반복되는 질염이나 외음부염증 등은 빨리 치료해야 합니다. 급성기 자궁경부염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거나 유산이나 분만 시 충격과 열상으로 인해 만성 자궁경부염이 발병하게 되면 자궁경부에서 정자통과가 어렵게 되어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자궁경부염의 증상
주증상은 냉이 많아지면서 냄새가 나는 것입니다. 심하면 고름같이 노란색이나 연두색을 띄는 화농성 분비물이 나옵니다. 자궁경관의 표면은 매우 약하기 때문에 접촉성 출혈이 자주 발생하기도 합니다.

만성자궁경부염 증상은?

만성자궁경부염에 특징적인 증상은 거의 없습니다. 주증상은 점액성 분비물이 자궁 경부에서 나와 냉이 많아지는데 헐은 부위에서 출혈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 골반통이나 요통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정자의 통과를 어렵게 하여 불임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드물게는 성교통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만성자궁경부염은 자궁 경부의 크기, 모양, 외관의 변화를 초래합니다. 주된 변화는 표피 박리, 두꺼워짐, 울툭불툭 해짐 열상 부위 흉터, 자궁 경관의 끝부분이 벌어져서 내부의 점막이 자궁 경관의 외부로 나오는 외번 현상 등이 있습니다.
 
만성자궁경부염과 자궁암
과거에는 자궁암이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자궁 경부감염과 관계된다고 했지만 최근에는 곤지름 바이러스에 의한 자궁경부염과 관계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자궁 경부에서 암의 최대 호발 부위는 자궁 경관 안쪽 점막 세포와 자궁 경부 바깥쪽 외피 세포의 경계 부위입니다. 이 경계 부위가 임신이나 출산시 자궁 경관에서 밖으로 밀려나와서 외부의 자극을 만성적으로 받는 것이 자궁암 발생과 관계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자궁경부염의 한방치료
한의학에서는 자궁경부염의 원인을 습열(濕熱), 습독(濕毒)으로 봅니다. 습이 원인인 질염보다 병증이 더욱 진행한 단계이며, 심한 염증으로 인해 화농성액체가 나오기도 합니다. 한방치료로 습열독을 청열(淸熱), 해독(解毒), 제습(除濕)하는 방법으로 증상을 개선시키고, 재발방지를 위해 면역력을 키워주어 근본치료합니다.